맨위로가기

태평기 (드라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평기》는 요시카와 에이지의 소설 《사본태평기》를 원작으로 한 드라마로, 가마쿠라 시대 말기부터 무로마치 시대 초기까지의 역사를 다룬 작품이다. 아시카가 다카우지의 거병, 가마쿠라 막부 멸망, 겐무 신정, 남북조 동란, 다카우지의 죽음까지를 다루며, 매회 '태평기의 고향'이라는 미니 다큐멘터리를 삽입하여 유적들을 소개하는 형식을 취했다. 군마현 오타시와 도치기현 아시카가시에 오픈 세트가 제작되었고, 등장인물의 죽음을 나레이션으로 처리하는 등 특징을 보였다. 황실과 공가의 말투를 통해 무사나 서민과의 차이를 나타냈으며, 평균 시청률 26.0%, 최고 시청률 34.6%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로마치 시대를 배경으로 한 작품 - 불새 (만화)
    데즈카 오사무의 만화 《불새》는 윤회와 영생을 주제로, 불멸의 존재인 ‘불새’를 중심으로 인간의 욕망과 갈등을 그린 여러 독립적인 이야기로 구성되어 다양한 미디어 믹스 작품으로 제작될 정도로 큰 영향을 미쳤다.
  • 무로마치 시대를 배경으로 한 작품 - 꽃의 난
    꽃의 난은 1994년 NHK에서 방영된 대하드라마로, 무로마치 시대 오닌의 난을 배경으로 히노 토미코의 파란만장한 삶과 권력을 탐하는 여인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 난보쿠초 시대를 배경으로 한 작품 - 태평기
    《태평기》는 14세기 무로마치 막부 관련 지식인들이 편찬한 군담소설로, 남북조 시대를 배경으로 겐무 신정, 남북조 분열, 무장들의 활약상을 유교적 대의명분론과 불교적 인과응보론에 기반하여 극적으로 묘사하며 역사적, 문학적, 사상적 영향력을 지닌다.
  • 난보쿠초 시대를 배경으로 한 작품 - 사쿠라이의 결별
    사쿠라이의 결별은 구스노키 마사시게가 아들에게 고향으로 돌아가 고다이고 천황을 섬기라는 유언을 남기고 동생과 함께 자결하는 내용을 담은 노래이다.
  • 가마쿠라 시대를 배경으로 한 작품 - 불새 (만화)
    데즈카 오사무의 만화 《불새》는 윤회와 영생을 주제로, 불멸의 존재인 ‘불새’를 중심으로 인간의 욕망과 갈등을 그린 여러 독립적인 이야기로 구성되어 다양한 미디어 믹스 작품으로 제작될 정도로 큰 영향을 미쳤다.
  • 가마쿠라 시대를 배경으로 한 작품 - 가마쿠라도노의 13인
    가마쿠라도노의 13인은 2022년 방영된 NHK 대하드라마로, 가마쿠라 막부 시대 미나모토노 요리토모 사후 13인의 합의제와 관련된 인물들의 갈등과 권력 다툼을 그린 작품이다.
태평기 (드라마)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시카가 가문의 문장
아시카가 가문의 문장
개요
장르역사 드라마
시대극
원작요시카와 에이지의 《사본태평기》
각본이케하타 슌사쿠
나카쿠라 시게오
연출사토 미키오 외
출연사나다 히로유키
사와구치 야스코
타케다 테츠야
네즈 진파치
진나이 타카노리
야나기바 토시로
쓰쓰미 다이지로
다카시마 마사노부
모토키 마사히로
미야자와 리에
다이치 야스오
에모토 아키라
에노키 타카아키
니시오카 도쿠마
가쓰노 히로시
고다마 기요시
가타오카 쓰루타로
히구치 가나코
곤도 마사오미
하라다 미에코
프랭키 사카이
후지무라 시호
오가타 켄
가타오카 다카오
내레이션야마네 모토요
음악 작곡가사에구사 시게아키
작곡가사에구사 시게아키
국가일본
언어일본어
프로듀서다카하시 야스오
이치야나기 구니히사
촬영 장소일본
상영 시간45분
방송사NHK
처음 방송1991년 1월 6일
마지막 방송1991년 12월 8일
에피소드 수49
제작
원작요시카와 에이지의 《사본태평기》
각본이케하타 슌사쿠
시게오 나카쿠라
음악사에구사 시게아키
나레이션야마네 모토요
방송
방송 기간1991년 1월 6일 ~ 12월 8일
방송 시간매주 일요일 20:00 ~ 20:45
방송 횟수49회
출연진
주요 출연진사나다 히로유키
사와구치 야스코
타케다 테츠야
네즈 진파치
진나이 타카노리
야나기바 토시로
다카시마 마사노부
모토키 마사히로
미야자와 리에
에모토 아키라
오가타 켄
가타오카 다카오
프랭키 사카이
후지무라 시호
조연 출연진아카이 히데카즈
아사노 가즈유키
이시하라 요시즈미
에노키 타카아키
에모토 아키라
오가타 켄
오와다 바쿠
가타오카 니자에몬
가타오카 고타로
가타오카 쓰루타로
가쓰노 히로시
고다마 기요시
고토 구미코
고마쓰 가타마사
곤도 마사오미
사와구치 야스코
시오미 산세이
진나이 다카노리
다이치 야스오
다카시마 마사노부
다카하시 에쓰시
타케다 테츠야
단다 야스노리
쓰쓰이 미치타카
쓰쓰미 다이지로
도요카와 에쓰시
니시오카 도쿠마
네즈 진파치
하기와라 겐이치
하세가와 하츠노리
하라다 미에코
히구치 가나코
후지 마리코
후지무라 시호
프랭키 사카이
미야자와 리에
모토키 마사히로
모리쓰구 아키라지
야나기바 토시로
야마우치 아키라
기타 정보
관련 작품쇼부가 고토쿠
다음 작품노부나가 KING OF ZIPANGU

2. 작품 내용 및 반향

《태평기》는 요시카와 에이지의 소설 《사본태평기》(私本太平記)를 원작으로 한 드라마이다. 가마쿠라 시대 말기부터 남북조 시대를 거쳐 무로마치 시대 초기까지를 본격적으로 다룬 최초의 작품이다.[4][5]

드라마는 아시카가 다카우지의 거병, 가마쿠라 막부 멸망, 겐무 신정, 남북조 동란을 거쳐 다카우지의 죽음까지를 그린다. 매회 후반부에는 '태평기의 고향'이라는 미니 다큐멘터리를 삽입하여 주인공 및 등장인물 관련 유적들을 소개했는데, 이는 현재 NHK 대하드라마의 전통으로 남아있다.

군마현오타시에는 무가 저택의 오픈 세트가, 도치기현아시카가시에는 가마쿠라와 교토의 거리를 재현한 오픈 세트가 만들어져 촬영에 사용되었다. 아시카가시 이세초에는 "태평기관"이 남아 촬영에 사용된 갑옷 등이 전시되어 있다.

특징 중 하나는 병사하는 등장인물의 최후를 직접 그리는 장면이 전혀 없고 나레이션으로 처리했다는 점이다.[6] 한편, 죽임을 당하거나 자결하는 장면은 많이 있었다.[6]

황족이나 공가의 말투는 표준어에 가까운 말을 하고, 몸가짐이나 어미 등으로 무사나 서민과의 차이를 나타냈다.

『태평기』의 대하 드라마화는 이전에도 여러 차례 기획되었으나, 황실이 적극적으로 관여하는 시대적 배경과 난해한 권력 투쟁 묘사 때문에 금기시되어 왔다. 그러나, "시청률보다 '하고 싶은 기획'을 우선시하는" 기운이 높아짐에 따라 드라마화가 진행되었고, 남조 측 황족이나 무장이 모셔져 있는 여러 신사나 신사본청, 보수계 정치가 등에 대한 밑작업을 신중하게 진행했다.

평균 시청률은 26.0%, 최고 시청률은 34.6%를 기록했다. (일본 비디오 리서치, 간토 지방 기준)[7]

3. 줄거리

14세기 초, 가마쿠라 막부호조 다카토키가 집권하고 있었으나, 실질적인 권력은 나가사키 엔키에게 있었다. 아시카가 다카우지는 아시카가 가문의 적자로 태어나 성장하여, 막부에 모반 혐의로 체포되지만 의형인 아카하시 모리토키의 도움으로 석방되고, 그의 여동생 도코와 결혼한다. 고다이고 천황구스노키 마사시게와 가사기산에서 거병하였으나, 오키섬으로 유배된다. 다카우지는 마사시게를 만난 후 막부를 무너뜨릴 것을 결심, 니타 요시사다 등과 함께 호조 군을 격파하고 가마쿠라 막부를 멸망시킨다.

고다이고 천황겐무 신정을 시작했지만, 무사들의 불만이 커지자 다카우지는 천황에게 반기를 들고 고묘 천황을 옹립, 정이대장군으로 임명되어 아시카가 막부(무로마치 막부)를 개창한다. 고다이고 천황의 죽음 이후 각지에서 반란이 일어나고, 다카우지의 동생 아시카가 다다요시고노 모로나오와 대립한다. 다카우지는 결국 다다요시를 독살하고, 아시카가 다다후유와의 싸움을 이어간다. 1358년, 아시카가 다카우지는 54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한다. 이후 남북조 시대는 통일되고, 무로마치 막부는 그의 손자 아시카가 요시미쓰 시대에 전성기를 맞이한다.

4. 등장인물

4. 1. 무로마치 막부와 북조

아시카가 타카우지 (사나다 히로유키 역):

아시카가 사다우지 (오가타 켄 역): 타카우지의 아버지.

우에스기 키요코 (후지무라 시호 역): 타카우지의 어머니.

아시카가 타다요시 (다카시마 마사노부 역): 타카우지의 남동생.

아시카가 요시아키라 (카타오카 타카타로 역): 타카우지의 후계자.

  • 모리타 유스케 - 센주오 (어린 요시아키라) 역

아시카가 다다후유 (쓰쓰이 미치타카 역): 타카우지의 서자.

  • 야마자키 유이치로 - 이자야마루 (어린 타다후유) 역

다이치 야스오 - 잇시키 우마노스케 역

에모토 아키라 - 코노 모로나오 역

츠지 카즈나가 - 코노 모로시게 역

시오미 산세이 - 코노 모로야스 역

아베 토루 - 코노 모로우지 역

모리츠구 코지 - 호소카와 아키우지 역

야마노우치 아키라 - 키라 사다요시 역

돈 칸타로 - 이마가와 노리쿠니 역

광엄 천황 (소노다 토모아키 → 츠지 테루타케): 지묘인 통의 천황으로, 고다이고 천황의 오키 배류에 따라 즉위하여 북조 초대 천황으로 취급받는다. 고다이고 천황 복귀 후에는 상황이 되지만 불우한 나날을 보냈다. 다카우지에 의해 옹립되어 북조의 수장 치천의 군이 된다. 그러나 토키 요리토에게 모욕을 당하거나, 합전 시 요시아키라에게 잊혀져 버려지는 등, 북조의 무장들로부터 존경받지 못한다.

광명 천황 (우미노 요시사다): 지묘인 통의 천황. 광엄 천황의 동생. 다카우지에 의해 옹립되어 북조 최초의 천황(대수로는 2대)으로 즉위한다.

사이온지 킨무네 (하세가와 하츠노리): 친 호조파의 공가. 간토신지. 호조의 권세를 등에 업고 다카우지를 멸시하는 거만한 인물. 겐무 정권 성립 후 불우하게 되어 호조의 잔당들과 함께 고다이고 천황 암살을 꾀하지만, 우마노스케와 닛타 요시사다에 의해 저지된다.

칸슈지 츠네아키 (쿠사나기 코지로): 광엄 상황의 측근. 다카우지와 타다요시의 대립 격화를 우려한 광엄 상황의 뜻을 받아 양자의 화해를 도모한다.

4. 1. 1. 아시카가 일족

아시카가 타카우지 (사나다 히로유키 역, 아역: 아메가사 토시유키): 주인공. 청년기에는 누구에게나 호감을 사는 인물이었으나, 겐무 신정 이후 조적이 된 것을 부끄러워하며 갈등하는 모습을 보인다. "영웅이라기보다는 소소한 정의감에 기대어 헤매기도 하면서 살아가는 인물"로 묘사되었다.[22] 동생 다다요시와 대립하여 결국 그를 독살하고, 다다요시의 시신을 끌어안고 통곡한다.

아시카가 사다우지 (오가타 켄 역): 다카우지의 아버지. 가마쿠라 막부고케닌인 아시카가 집안의 당주로서, 막부와의 협조와 겐지의 도료로서의 자부심 사이에서 갈등한다. 막부 타도를 꿈꿨으나 실현을 눈앞에 두고 병사한다.

우에스기 키요코 (후지무라 시호 역): 사다우지의 측실. 다카우지, 다다요시 형제를 걱정하며 지켜본다. 교토의 우에스기 가 출신으로 와카와 문학에 정통하다.

아시카가 다다요시 (다카시마 마사노부 역, 아역: 다카하시 마모루): 다카우지의 동생. 형을 지지하지만, 점차 다른 노선을 걷게 되며 갈등을 겪는다. 결국 형에게 독살당하는 운명을 담담히 받아들인다.

아시카가 요시아키라 (카타오카 타카타로 역): 다카우지와 도코의 장남. 아버지와 달리 경솔하고 단순한 인물로 그려진다. 가마쿠라 부에서 여러 일을 맡았으나, 독단적인 행동으로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아시카가 다다후유 (쓰쓰이 미치타카 역, 아역: 야마자키 유이치로): 다카우지의 서장자. 아버지에게 반발하며 숙부 다다요시와 결탁하여 대립한다.

4. 1. 2. 고 집안

에모토 아키라코노 모로나오역을 연기했다. 아시카가 집안의 집사로 감정을 읽을 수 없는 뚱한 표정을 하면서도 실력자로써 큰 권세를 떨쳤다. 이로 인해 다다요시와 대립하게 되고 간노의 소란으로 이어지게 된다.

시오미 산세이가 코노 모로야스역을 연기했다. 모로나오의 형이다.

4. 1. 3. 아시카가측 무장


  • 사사키 도요: 진나이 타카노리가 연기하였다. 다카우지의 맹우로 이 시대를 상징하는 「바사라 다이묘」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다카우지가 교토에 왔을 때 하나야샤 이치자(花夜叉一座)를 소개해 주었고, 다카우지가 사무라이도코로(侍所)에서 심문받게 되었을 때 증인으로서 다카우지를 구했다. 다카우지가 가마쿠라 막부 타도의 뜻을 굳힌 때에도 그의 설명을 납득하고 계획에 동조했다. 다카우지와 마찬가지로 고다이고 천황을 직접 만나 그의 인품과 기백에 경의를 표하며 가마쿠라 막부 타도에 힘썼다. 겐무 신정의 미숙함에 실망하여, 다카우지와는 달리 일찍이 고다이고에게서 등을 돌렸다. 이후 다카우지에 의한 새로운 막부 설립에 협력, 막부 성립 후에는 중신으로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한다. 이케바나와 투다를 즐기는 풍류인이기도 하다. 작중에서는 「'''사사키 한간'''(佐々木判官)」이라고 불린다.

  • 잇시키 우마노스케(一色右馬介)/류사이(柳斎) : 요코야마 이사무(横山勇)와 다이치 야스오(大地康雄)가 연기하였다. 호조 씨에 의해 멸망당한 요시키(吉見) 일족의 잔당이었던 시오야(塩屋) 일문의 생존자로 작품 전반에 걸쳐 다카우지를 따르는 최측근으로 활약한다. 다카우지에게 반기를 든 다다후유를 설득하려다 결국 다다후유의 칼에 죽음을 맞이하는데, 이는 드라마에서만의 설정이다.

  • 아카마쓰 엔신: 와타나베 테츠가 연기하였다. 하리마의 호족으로 하쿠하타 성의 성주. 고다이고의 도막에 호응하여 롯파라 함락 등에 공을 세우지만, 고모리노미야 친왕 파였기 때문에 아노 렌시와 고다이고에게 냉대를 받아 신정에 실망하여 이반. 자신을 이해하고 예우해 준 다카우지를 따르게 된다. 다카우지에 호응하여 하쿠하타 성에 농성, 게릴라전을 전개하여 니타 요시사다를 농락한다.

  • 아카마쓰 노리스케: 사이토 타쿠와 사이토 시로가 연기하였다. 노리무라의 장남. 가사기산에 웅거한 고다이고 천황에게 달려갔다.

  • 도키 요리토오: 시모모토 시로가 연기하였다. 다카우지 지지 무장. 거친 성격으로 술에 취해 고곤 상황에게 무례를 범해 타다요시에 의해 처형된다.

  • 시오야 타카사다: 미네 산타와 아사노 카즈유키가 연기하였다. 다카우지의 부하로, 도요의 먼 친척. 정실인 니시타이에 연정을 품은 사다후유의 모략으로 모반의 누명을 쓰고 자결한다.

  • 미나미 시게나가: 카와하라 사부가 연기하였다. 다카우지의 부하. 거병 이래의 고참.

  • 미나미 무네츠구: 카시바 타케시가 연기하였다. 다카우지의 부하. 거병 이래의 고참.

  • 쇼니 요리나오: 카지 켄타로가 연기하였다. 다카우지 지지 무장. 규슈의 유력 호족으로, 자신의 딸을 타다후유에게 시집보낸다. 타다후유 지지파의 중심적 존재.

  • 아소 코레토키: 후나쿠보 노부유키가 연기하였다. 규슈의 유력 호족. 타다후유 지지파.

4. 1. 4. 지묘인 계통 외

4. 2. 남조

가타오카 니자에몬 (15대)가 고다이고 천황 역을 연기했다. 다이카쿠지 통의 천황으로, 휘는 '''존치'''(타카하루)이다. 다카우지가 교토 다이고지를 방문했을 때 우연히 만났다. 초반에는 온화하고 고상한 기품을 지닌 군주였으나, 중반 이후 수염을 기른 야성적인 모습으로 조정의 적을 토벌하려는 집념을 보인다. 가마쿠라 막부 타도 후 겐무 신정의 최고 지도자로 군림하지만, 현실과 동떨어진 정책으로 좌절한다. 다카우지의 인품과 자질을 인정하여 자신의 이름 한 글자를 주었으나, 결국 적대 관계로 돌아서 요시노로 가 남조를 세우고 아시카가 토벌을 유언하고 사망한다. 다카우지는 그의 죽음을 깊이 슬퍼했다.

하라다 미에코아노 렌시 역을 연기했다. 고다이고 천황의 비(妃)이자 고무라카미 천황, 츠네나가 친왕, 나리나가 친왕의 어머니이다. 통칭 '''산미노 쓰보네'''(三位局)이다. 원래 레이세이몬인을 섬기는 상노뇨보였으나, 고다이고 천황의 총애를 받았다. 지모가 뛰어나고 냉철하며, 고다이고 천황을 한결같이 그리워하는 여성적인 면도 있다. 두 번째 막부 타도 실패 후 오키 섬으로 유배된 천황을 따라갔다. 막부 타도 후 권세를 누리며 자신의 아들을 다음 천황으로 세우고자 모리요시 친왕 일파를 멀리하여, 유력 무가의 이반과 조정 혼란을 야기했다. 고다이고 천황 사후 출가하여 '''주코'''(寿光)라 칭했다.

쓰쓰미 다이지로가 모리요시 친왕 역을 연기했다. 고다이고 천황의 황자로, 통칭 '''다이토노미야'''(大塔宮) 또는 '''미야 쇼군'''(親王将軍)으로 불렸다. 강직하고 혈기 왕성하며 무가에 대한 우월 의식이 강했다. 렌시와 사이가 좋지 않아 훗날 실각의 원인이 된다. 황족이면서 무용이 뛰어나 가마쿠라 막부 타도에 활약했지만, 다카우지의 역량을 경계하여 적대했다. 다다요시에게 유폐되어 살해당했다.

사토 에리가 코자이쇼 역을 연기했다. 고다이고 천황의 비(妃)이다. 오키 유배에 동행하여 고다이고 천황의 아이를 임신했으나, 막부에 정보를 누설했다. 이를 안 렌시가 오키 탈출 시 배에서 겨울 바다에 밀어 넣어 사망시켰다.

야가미 노리유키가 무네요시 친왕 역을 연기했다. 고다이고 천황의 황자이다.

아라오카 요시아키가 다카요시 친왕 역을 연기했다. 고다이고 천황의 황자이다.

오오카와라 아즈사가 쓰네나가 친왕 역을 연기했다. 고다이고 천황의 황자이다.

하세가와 츄가 나리나가 친왕 역을 연기했다. 고다이고 천황의 황자이다.

호소야마다 타카토→니시가이토 유야→와타나베 히로키가 고무라카미 천황(요시나가 친왕→고무라카미 천황) 역을 연기했다. 고다이고 천황의 황자로, 제97대 천황이다. 아버지 고다이고 천황 붕어 후 즉위했지만 아직 어려, 렌시지카후사가 남조의 실권을 쥐었다.

쓰지 테루타케가 고곤 천황 역으로 출연했다.

4. 2. 1. 다이카쿠지 계통


  • 고다이고 천황: 가타오카 타카오 연기. 다이카쿠지 통의 천황으로, 휘는 '''존치'''(타카하루)이다. 다카우지가 교토 다이고지를 방문했을 때 우연히 만났다. 초반에는 온화하고 고상한 기품을 지닌 군주였으나, 중반 이후 수염을 기른 야성적인 모습으로 조정의 적을 토벌하려는 집념을 보인다. 가마쿠라 막부 타도 후 겐무 신정의 최고 지도자로 군림하지만, 현실과 동떨어진 정책으로 좌절한다. 다카우지의 인품과 자질을 인정하여 자신의 이름 한 글자를 주었으나, 결국 적대 관계로 돌아서 요시노로 가 남조를 세우고 아시카가 토벌을 유언하고 사망한다. 다카우지는 그의 죽음을 깊이 슬퍼했다.
  • 아노 렌시: 하라다 미에코 연기. 고다이고 천황의 비(妃)이자 고무라카미 천황, 츠네나가 친왕, 나리나가 친왕의 어머니이다. 통칭 '''산미노 쓰보네'''(三位局). 원래 레이세이몬인을 섬기는 상노뇨보였으나, 고다이고 천황의 총애를 받았다. 지모가 뛰어나고 냉철하며, 고다이고 천황을 한결같이 그리워하는 여성적인 면도 있다. 두 번째 막부 타도 실패 후 오키 섬으로 유배된 천황을 따라갔다. 막부 타도 후 권세를 누리며 자신의 아들을 다음 천황으로 세우고자 모리요시 친왕 일파를 멀리하여, 유력 무가의 이반과 조정 혼란을 야기했다. 고다이고 천황 사후 출가하여 '''주코'''(寿光)라 칭했다.
  • 모리요시 친왕: 쓰쓰미 다이지로 연기. 고다이고 천황의 황자로, 통칭 '''다이토노미야'''(大塔宮) 또는 '''미야 쇼군'''(親王将軍)으로 불렸다. 강직하고 혈기 왕성하며 무가에 대한 우월 의식이 강했다. 렌시와 사이가 좋지 않아 훗날 실각의 원인이 된다. 황족이면서 무용이 뛰어나 가마쿠라 막부 타도에 활약했지만, 다카우지의 역량을 경계하여 적대했다. 다다요시에게 유폐되어 살해당했다.
  • 코자이쇼: 사토 에리 연기. 고다이고 천황의 비(妃). 오키 유배에 동행하여 고다이고 천황의 아이를 임신했으나, 막부에 정보를 누설했다. 이를 안 렌시가 오키 탈출 시 배에서 겨울 바다에 밀어 넣어 사망시켰다.
  • 무네요시 친왕: 야가미 노리유키 연기. 고다이고 천황의 황자.
  • 다카요시 친왕: 아라오카 요시아키 연기. 고다이고 천황의 황자.
  • 쓰네나가 친왕: 오오카와라 아즈사 연기. 고다이고 천황의 황자.
  • 나리나가 친왕: 하세가와 츄 연기. 고다이고 천황의 황자.
  • 고무라카미 천황: (요시나가 친왕→고무라카미 천황): 호소야마다 타카토→니시가이토 유야→와타나베 히로키 연기. 고다이고 천황의 황자로, 제97대 천황. 아버지 고다이고 천황 붕어 후 즉위했지만 아직 어려, 렌시지카후사가 남조의 실권을 쥐었다.

4. 2. 2. 구스노키 집안

구스노키 마사시게: 타케다 테츠야

: 가와치의 호족으로, 효부, 무가 관위는 가와치노카미로 불린다. 스스로 괭이를 들고 농사일에 종사하는 등 호탕한 시골 토착 무사이지만, 전쟁 시에는 뛰어난 게릴라전의 수완을 보인다. 고다이고 천황에게 존경의 마음을 품고 전략가로서의 재능을 가지면서도 전쟁을 매우 싫어하며 일을 일으키는 데 신중한 자세를 취한다. 다카우지의 인품·그릇·입장을 이해하고 있었던 인물이며, 다카우지와 적대 관계가 되는 것을 걱정하고 싫어했다. 다카쿠라 켄을 이미지한 캐스팅이 상정되었으나, 전쟁 전 영웅적 이미지가 강하다는 이유로 무산되고 "흙냄새 나는 시골 사람 같은" 다케다가 배역되었다. 마사시게의 캐스팅이 다케다로 결정되자 우익 단체로부터 항의가 잇따랐다.

히사코: 후지 마리코

: 마사시게의 정실. 명랑한 성격이지만 합전에서는 스스로 활과 화살을 들고 싸우는 기개 있는 면모를 보인다. 남편 마사시게의 사후에는 아직 어린 마사유키의 후견을 맡는다. 마사시게와 사이가 좋지 않았던 여동생 우키(花夜叉)를 걱정하며, 두 사람의 화해를 주선했다.

구스노키 마사스에: 아카이 히데카즈

: 마사시게의 동생. 형과는 대조적인, 무사다운 무사. 가마쿠라 막부 추토 시에는 다카우지를 아군으로 삼지만, 신정 시대에는 가장 먼저 다카우지를 적대시하는 모리요시 친왕을 따라 다카우지 암살을 책략하는 등, 혈기 왕성하고 경솔한 면이 있으며, 그 점은 마사시게·히사코 부부도 고민의 씨앗으로 삼았다. 극중에서는 부하들로부터 주로 "'''류센지 전'''(りゅうせんじどの)"이라는 통칭으로 불렸다.

와다 고로: 사쿠라 킨조

: 구스노키 마사시게의 부하. 미나토가와의 싸움에서 전사하지 않고 살아남은 몇 안 되는 가신.

구스노키 마사유키: 기타다 하야토→가토 세이다이→나카무라 시게유키

: (다몬마루→구스노키 마사유키) 마사시게의 장남. 히사코와 함께 교토에 있는 아버지 마사시게를 방문하려다 길을 잃고, 아시카가 다카우지에게 신병을 보호받은 적이 있다. 그 때 다카우지와 직접 면식이 있었다.

: 미나토가와의 싸움 직전까지, 마사시게 등과 행동을 함께했지만, 마사시게로부터 이 싸움 자체가 부주의한 싸움이며 승산이 없고, 둘도 없는 목숨을 아버지와 함께 잃는 것을 바라지 않는다는 것, 어른이 되면 자신의 목숨을 어떻게든 사용하라고 타이르고 귀향한다. 그 후에는 남조의 무장으로 싸움에 몸을 던지지만 시조나와테의 싸움에서 전사한다.

온지 사콘: 세가와 테쓰야

: 마사시게를 섬기는 고참 노신. 마사시게와 함께 고난을 함께 한다. 구스노키 가문의 집사로서 가신단의 총괄 역할을 맡는다. 표표한 인품으로, 마사시게와 운명을 함께 할 때도 그것은 변하지 않았다.

진구지 마사후사: 덴덴

: 구스노키 마사시게의 부하.

4. 2. 3. 닛타 집안


  • 닛타 고타로(新田小太郎) → 닛타 요시사다(新田義貞): 하기와라 켄이치 → 네즈 진파치 (하기와라의 건강 악화로 네즈로 출연자 변경)[3]
  • : 다카우지의 맹우이자 라이벌이다. 가마쿠라 막부 타도 전쟁에서 다카우지와 함께 행동했으나 다카우지가 고다이고 천황을 등지게 되자 조정측 총대장으로써 다카우지와 적대하게 된다. 하지만, 고다이고 천황과 마찬가지로 다카우지 개인에 대해서는 벗이자 호적수로써 죽는 순간까지도 그러한 감정을 놓지 않는다.
  • 고토노 나이시: 미야자키 마스미
  • : 닛타 요시사다의 연인.
  • 와키야 요시스케: 이시하라 요시즈미
  • : 요시사다의 동생.
  • 이와마츠 쓰네이에: 아카즈카 마사토
  • : 닛타 일족의 무장.
  • 야스코: 아메쿠 미치코
  • : 요시사다의 정실 부인.
  • 후나타 뉴도: 카오 오사무
  • : 요시사다의 집사
  • 닛타 우지요시: 가와이 류지
  • 미키 슌쓰라: 오제키 마사요시
  • 호리구치 사다미쓰: 몬다 슌이치
  • : 요시사다의 가신.

4. 2. 4. 남조측 구게와 무장들


  • 기타바타케 지카후사(곤도 마사오미 분): 고다이고 천황의 측근으로, 구게 중에서도 필두격 위치에 있었다. 아들 기타바타케 아키이에와 마찬가지로 적극적으로 전장에 나서는 등 무투파의 면모도 보였다. 가마쿠라 막부 멸망 후 축하연에서 아시카가 다카우지구스노키 마사시게 등 무사들과 함께 참석하면서도 "미천한 자들과 벼락출세한 구교들이 한심스럽게 떠드는 꼴이 보기 싫다"며 일찍 자리를 뜨는 등 구게로서의 편견을 드러내기도 했다. 하지만 로쿠하라 단다이를 함락시킨 다카우지의 역량을 "구스노키 마사시게와는 다른 무가의 도료다운 기량이 있다"고 인정하기도 했다. 다카우지가 가마쿠라에서 봉기하자 아들 아키이에와 함께 오슈에서 병력을 이끌고 구스노키 마사시게, 닛타 요시사다와 함께 다카우지를 몰아낸 뒤, 축하연에서 "이 자리에 공적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우리의 실정이 아시카가에게로 세력이 몰릴 빌미를 준 것이다"라고 일갈하는 등 다른 구게들과는 선을 긋는 모습을 보였다. 모리요시 친왕에게는 무가의 또 다른 수장격 인물인 닛타 요시사다에게 아시카가 다카우지를 견제하게 해야 한다고 진언하기도 했다. 고다이고 천황에 대해 비판적인 면도 있었지만, 조정이 주도하는 정치를 실현하고자 하는 목표를 공유했다. 고다이고 천황 사후에도 남조의 중진으로서 다카우지를 괴롭혔다. 다이나곤으로, '아쇼(亜相)'라는 당나라식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다.
  • 히노 도시모토(에노키 다카아키 분): 고다이고 천황의 측근으로, 막부 타도 계획의 중심 인물이었다. 야마부시 차림으로 변장하고 여러 구니를 돌던 중 다카우지와 만났으며, 가마쿠라에 불만을 품고 있던 다카우지에게 교토의 훌륭함을 설파했다. 교토에서도 다카우지와 만났으며, 이후 다카우지의 사상과 행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 막부에 대한 모반 혐의로 체포되어 처형되었는데, 그 전에 이시를 만나 막부가 무너진 뒤 자신이 가진 땅을 주겠다는 문서를 써 주었다.
  • 기타바타케 아키이에(고토 쿠미코 분): 기타바타케 지카후사의 맏아들로, 활쏘기의 명수였다. 구게이면서도 뛰어난 군사적 능력을 가진 미소년이었다. 다카우지에 대해서도 "도리를 분별할 줄 아는 인물"이라고 평가했지만, 고다이고 천황과 아버지 지카후사에 대한 존경심과 구게 일통을 지키고자 하는 생각은 변함이 없었다. 그러나 닛타 요시사다와의 연계를 잃은 채 1338년 5월, 셋쓰국덴노지(天王寺) ・ 이시즈(石津)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날아오는 화살에 맞아 부상을 입었다. 이후 자신이 알지 못하는 숲으로 도망쳐 들어가 그곳에서 자결했다.
  • 지구사 다다아키(모토키 마사히로 분): 고다이고 천황의 측근으로, 항상 고다이고 천황 곁에 있었으며, 고다이고 천황으로부터 두터운 신뢰를 받았다. 고다이고 천황이 오키 제도로 유배되는 등 곤경에 처했을 때도 행동을 함께했다. 유능했지만, 무가는 싸움 말고는 잘하는 것이 없다는 편견을 가지고 있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전사했다.
  • 나와 나가토시(고마쓰 호세이 분): 호키국의 무장으로, 막부 타도 후반에 고다이고 천황을 센조 산(船上山)으로 초빙했다. 무장이라기보다는 호상이라고 부르는 게 나을 듯한 차림새와 노회한 행동거지를 보였다. 천황을 존숭하여 마음속으로 충성을 맹세한 구스노키 마사시게와는 달리, 이해득실을 계산하는 타산적인 인물이었다. 막부 타도 후에는 마사시게와 함께 일개 토호에서 정신(廷臣)의 지위에까지 올랐으며, 남조측의 중진으로 중시되었다. 모리요시 친왕 체포에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 미나토가와 전투에서 기세가 오른 아시카가 세력이 교토로 진군해 오자 방어선에서 분전했지만, 잡병의 손에 전사했다.
  • 시조 다카스케(이노우에 노리히로 분): 고다이고 천황의 측근으로, 시종일관 무가를 하대하는 구교였다.
  • 몬칸(마로 아카지 분): 승려이자 고다이고 천황의 측근이었다. 다카우지가 교토의 사찰에서 우연히 고다이고 천황과 조우하는 장면에서 처음 등장했다. 고다이고 천황이 그때 읊고 있던 와카는 몬칸이 바라던 것이었다. 괴벽한 성격으로 엄청난 존재감을 보였으며, 고다이고 천황 사후에도 남조측 무사단을 결집시켜 다카우지에게 보복할 기회를 노리는 집념을 보였다.
  • 마데노코지 후지후사(오와다 바쿠 분): 고다이고 천황의 측근으로, 고다이고 천황의 칙사로서 구스노키 마사시게를 예방해 거병을 재촉했다.
  • 보몬 기요타다(후지키 다카시 분): 고다이고 천황의 측근이었다. 초기에는 냉정한 성격으로 총명한 발언도 했지만, 차츰 오만한 모습이 더욱 두드러지게 되었다. 구스노키 마사시게를 참언하거나 자기 보신을 위해 패전 책임을 닛타 요시사다에게 떠넘기는 등 자신의 사리사욕을 위해 의견을 손바닥 뒤집듯 바꾸는 부패한 구교의 본성을 드러냈다.
  • 요시다 사다후사(고로 다루미 분): 고다이고 천황의 측근으로, 고다이고 천황에게는 유부(乳父, 유모의 남편)에 해당한다. 쇼추의 변(正中の変)에서는 조급해 하는 고다이고 천황을 달래 진정시켰으며, 겐코의 변(元弘の変)에서는 히노 도시모토 등의 모반을 가마쿠라 막부에 밀고했다.
  • 이치조 유키후사(아이하라 유키노리 분): 고다이고 천황의 측근.
  • 히노 스케토모(사토 후미히로 분):

4. 3. 가마쿠라 막부


  • 가타오카 쓰루타로: 부패한 막부와 호조 집안의 상징으로 투견과 덴라쿠(田楽)에 빠져 사는 무능한 암군으로 묘사된다. 나가사키 엔키의 전횡에 막부가 병들어 가는 가운데 그의 살해를 꾀하나 실패하고 집권(執権)을 사임한다. 위대했던 할아버지 도키무네나 아버지 사다토키와 비교되는 자신이 싯켄이라는 지위에 걸맞은 인간이 아님을 늘 자각하면서 자학적인 사고를 품고 있었다.[11] 닛타군이 가마쿠라에 쳐들어 오자 도쇼지에서 일족과 함께 불을 지르고 할복한다. 작중 막부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할 능력이 없고 늘상 무기력한 모습밖에 보이지 않지만 실권을 휘두르는 나가사키 부자나 효조슈(評定衆)보다도 더 냉정하게 상황을 판단하는등 단순한 암군으로만 보기 어려운 일면도 그려지고 있다.
  • 호조 모리토키: 가쓰노 히로시 :호조 일족 아카하시 류(赤橋流)로 제16대 싯켄이었다. :아시카가 다카우지의 정실인 도코의 오빠로 다카우지는 그의 매제가 된다. 사임한 사다아키 대신 16대 싯켄으로 취임한다. 그러나 실권은 선대와 마찬가지로 나가사키 부자 등 고나이닌(御内人)에 의해 무시당하는 등 꼭두각시나 다름없었다. 다카우지의 이해자로써 그려지며, 다카우지의 막부 타도 의사를 사실은 알고 있으면서도 묵인하고 있는 듯한 행동을 가끔 벌인다. 매제인 다카우지가 모반을 일으키자 주위로부터 백안시되어 칩거를 명령받지만, 스스로 지원하여 닛타 요시사다 군세에 맞서 방어전을 벌이다 전사한다. 호조 가문이라는 입장상 다카우지 등과는 적대관계가 될 수밖에 없지만, 개인적으로는 다카우지 등 막부 타도 세력에 가담하고 싶다는 생각도 가지고 있다.
  • 가나자와 사다아키(金沢貞顕): 코다마 키요시(児玉清) :사다우지의 정실의 오빠로 다카우지에게는 외삼촌이 된다. 제12대 렌쇼(連署)로 다카토키의 싯켄 사직을 받아 들여 나가사키 일파와 함께 가레키(嘉暦) 원년(1326년) 3월에 제15대 싯켄이 되지만, 다카토키의 어머니인 가쿠카이니(覚海尼)의 서슬에 질려 한 달 뒤에 사임해 버렸다. 아시카가 사다우지와는 친한 사이로 아시카가 가의 입장을 이해하고 있으며 호조 가문과 아시카가 가문의 다툼을 피하기 위해 분투하는 한편으로 때로는 나가사키 엔키 이상으로 아시카가 가문의 이반을 경계하고 아시카가 가문의 교토 출진에는 맹렬히 반대하였다. 호조 일족이 멸망하던 날 아들에게 가이샤쿠(介錯)를 부탁했다.
  • 가쿠카이니(覚海尼): 사와 다마키(沢たまき) :다카토키의 어머니로 사다토키의 정실. :엔키 암살이 실패하고 차츰 좌절해 가는 아들을 대신해 막부 정치에 깊이 관여하게 된다. 아시카가 다카우지가 교토 로쿠하라 단다이를 점령했다는 소식이 들려온 날 좌절해 주저앉아 있는 다카토키에게 자신은 아직 다카토키를 포기하지 않았다고 말한다. 가마쿠라 막부가 멸망하던 날 무사히 가마쿠라를 탈출하였으며, 슌케이니(春渓尼)를 통해 "사람의 인생도 꽃이 피고 지듯 덧없는 것이니 부디 호조 9대의 이름에 어울리는 아름다운 끝맺음을 이루라"는 말을 다카토키에게 전한다.
  • 아키코(顕子): 오다 아오이(小田茜) :다카토키의 애인. 어린 동녀의 모습으로 꾸미고 있다. 감정 기복이 거의 보이지 않는 것이 특징. 도쇼지에서 다카토키 자결 직후 뒤따라 자결하였다.
  • 쓰보네(局): 후카우라 가나코(深浦加奈子) :다카토키 거처에서 아키코나 다른 쓰보네들과 함께 로쿠하라 단다이가 함락되던 마지막 모습을 기록한 편지를 읽고 눈물을 흘리는 장면에서 등장하였다.
  • 슌케이니(春渓尼): 기무라 나쓰에(木村夏江) :가쿠카이니(覚海尼)의 시녀. 가쿠카이니를 대신해 도쇼지로 숨어 들어 다카토키를 만났으며, 호조 가문의 최후를 지켜본다.
  • 가나자와 사다후유(金沢貞冬): 가가와 고지(香川耕二) :호조 일족으로 사다아키의 아들.
  • 가나자와 사다마사(金沢貞将): 히사노 신페이(久野真平) :호조 일족으로 사다아키의 적남. 아버지의 가이샤쿠(介錯)를 맡은 직후에 뒤따라 자결하였다.
  • 오사라기 사다나오(大仏貞直): 야마나카 고지(山中康司) :호조 일족.
  • 오사라기 다카나오(大仏高直): 가와니시 겐지(河西健司) :호조 일족.
  • 호조 시게토키(北条茂時): 가미야 마사히로(神谷まさひろ) :호조 일족. 제14대 렌쇼(連署).
  • 호조 야스이에(北条泰家): 미도리카와 마코토(緑川誠) :호조 일족으로 다카토키의 동생. 가마쿠라 막부 붕괴 뒤에도 살아남아서 숨어 있었다. 사이온지 긴무네(西園寺公宗) 등과 짜고 고다이고 천황의 암살을 기도하지만 좌절되자 도망쳤다.
  • 호조 나카토키(北条仲時): 단타 야스노리(段田安則)→도사카 사토루(刀坂悟) :호조 일족으로 로쿠하라 단다이(六波羅探題)의 북방(北方).
  • 호조 도키마스(北条時益): 세코 다카마루(世古陽丸) :호조 일족으로 로쿠하라 단다이(六波羅探題) 남방(南方).
  • 호조 노리사다(北条範貞): 쓰루타 시노부(鶴田忍) :호조 일족.
  • 나고시 다카이에(名越高家): 오야마 마사유키(小山昌幸) :호조 일족

4. 3. 1. 호조 일족


  • 호조 다카토키: 가타오카 쓰루타로
  • : 부패한 막부와 호조 집안의 상징으로 투견과 덴라쿠(田楽)에 빠져 사는 무능한 암군으로 묘사된다. 나가사키 엔키의 전횡에 막부가 병들어 가는 가운데 그의 살해를 꾀하나 실패하고 집권(執権)을 사임한다. 위대했던 할아버지 도키무네나 아버지 사다토키와 비교되는 자신이 싯켄이라는 지위에 걸맞은 인간이 아님을 늘 자각하면서 자학적인 사고를 품고 있었다.[11] 닛타군이 가마쿠라에 쳐들어 오자 도쇼지에서 일족과 함께 불을 지르고 할복한다. 작중 막부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할 능력이 없고 늘상 무기력한 모습밖에 보이지 않지만 실권을 휘두르는 나가사키 부자나 효조슈(評定衆)보다도 더 냉정하게 상황을 판단하는등 단순한 암군으로만 보기 어려운 일면도 그려지고 있다.

  • 호조 모리토키: 가쓰노 히로시
  • :호조 일족 아카하시 류(赤橋流)로 제16대 싯켄이었다.
  • :아시카가 다카우지의 정실인 도코의 오빠로 다카우지는 그의 매제가 된다. 사임한 사다아키 대신 16대 싯켄으로 취임한다. 그러나 실권은 선대와 마찬가지로 나가사키 부자 등 고나이닌(御内人)에 의해 무시당하는 등 꼭두각시나 다름없었다. 다카우지의 이해자로써 그려지며, 다카우지의 막부 타도 의사를 사실은 알고 있으면서도 묵인하고 있는 듯한 행동을 가끔 벌인다. 매제인 다카우지가 모반을 일으키자 주위로부터 백안시되어 칩거를 명령받지만, 스스로 지원하여 닛타 요시사다 군세에 맞서 방어전을 벌이다 전사한다. 호조 가문이라는 입장상 다카우지 등과는 적대관계가 될 수밖에 없지만, 개인적으로는 다카우지 등 막부 타도 세력에 가담하고 싶다는 생각도 가지고 있다.

  • 가나자와 사다아키(金沢貞顕): 코다마 키요시(児玉清)
  • :사다우지의 정실의 오빠로 다카우지에게는 외삼촌이 된다. 제12대 렌쇼(連署)로 다카토키의 싯켄 사직을 받아 들여 나가사키 일파와 함께 가레키(嘉暦) 원년(1326년) 3월에 제15대 싯켄이 되지만, 다카토키의 어머니인 가쿠카이니(覚海尼)의 서슬에 질려 한 달 뒤에 사임해 버렸다. 아시카가 사다우지와는 친한 사이로 아시카가 가의 입장을 이해하고 있으며 호조 가문과 아시카가 가문의 다툼을 피하기 위해 분투하는 한편으로 때로는 나가사키 엔키 이상으로 아시카가 가문의 이반을 경계하고 아시카가 가문의 교토 출진에는 맹렬히 반대하였다. 호조 일족이 멸망하던 날 아들에게 가이샤쿠(介錯)를 부탁했다.

  • 가쿠카이니(覚海尼): 사와 다마키(沢たまき)
  • :다카토키의 어머니로 사다토키의 정실.
  • :엔키 암살이 실패하고 차츰 좌절해 가는 아들을 대신해 막부 정치에 깊이 관여하게 된다. 아시카가 다카우지가 교토 로쿠하라 단다이를 점령했다는 소식이 들려온 날 좌절해 주저앉아 있는 다카토키에게 자신은 아직 다카토키를 포기하지 않았다고 말한다. 가마쿠라 막부가 멸망하던 날 무사히 가마쿠라를 탈출하였으며, 슌케이니(春渓尼)를 통해 "사람의 인생도 꽃이 피고 지듯 덧없는 것이니 부디 호조 9대의 이름에 어울리는 아름다운 끝맺음을 이루라"는 말을 다카토키에게 전한다.

  • 아키코(顕子): 오다 아오이(小田茜)
  • :다카토키의 애인. 어린 동녀의 모습으로 꾸미고 있다. 감정 기복이 거의 보이지 않는 것이 특징. 도쇼지에서 다카토키 자결 직후 뒤따라 자결하였다.

  • 쓰보네(局): 후카우라 가나코(深浦加奈子)
  • :다카토키 거처에서 아키코나 다른 쓰보네들과 함께 로쿠하라 단다이가 함락되던 마지막 모습을 기록한 편지를 읽고 눈물을 흘리는 장면에서 등장하였다.

  • 슌케이니(春渓尼): 기무라 나쓰에(木村夏江)
  • :가쿠카이니(覚海尼)의 시녀. 가쿠카이니를 대신해 도쇼지로 숨어 들어 다카토키를 만났으며, 호조 가문의 최후를 지켜본다.

  • 가나자와 사다후유(金沢貞冬): 가가와 고지(香川耕二)
  • :호조 일족으로 사다아키의 아들.

  • 가나자와 사다마사(金沢貞将): 히사노 신페이(久野真平)
  • :호조 일족으로 사다아키의 적남. 아버지의 가이샤쿠(介錯)를 맡은 직후에 뒤따라 자결하였다.

  • 오사라기 사다나오(大仏貞直): 야마나카 고지(山中康司)
  • :호조 일족.

  • 오사라기 다카나오(大仏高直): 가와니시 겐지(河西健司)
  • :호조 일족.

  • 호조 시게토키(北条茂時): 가미야 마사히로(神谷まさひろ)
  • :호조 일족. 제14대 렌쇼(連署).

  • 호조 야스이에(北条泰家): 미도리카와 마코토(緑川誠)
  • :호조 일족으로 다카토키의 동생. 가마쿠라 막부 붕괴 뒤에도 살아남아서 숨어 있었다. 사이온지 긴무네(西園寺公宗) 등과 짜고 고다이고 천황의 암살을 기도하지만 좌절되자 도망쳤다.

  • 호조 나카토키(北条仲時): 단타 야스노리(段田安則)→도사카 사토루(刀坂悟)
  • :호조 일족으로 로쿠하라 단다이(六波羅探題)의 북방(北方).

  • 호조 도키마스(北条時益): 세코 다카마루(世古陽丸)
  • :호조 일족으로 로쿠하라 단다이(六波羅探題) 남방(南方).

  • 호조 노리사다(北条範貞): 쓰루타 시노부(鶴田忍)
  • :호조 일족.

  • 나고시 다카이에(名越高家): 오야마 마사유키(小山昌幸)
  • :호조 일족

4. 3. 2. 가마쿠라 막부의 고케닌들


  • 나가사키 엔키: 프랑키 사카이 배역. 선대 호조씨 내관령으로, 실명은 ''''다카쓰나'''(高綱)'이며, '엔키(円喜)'는 법명이다. 가마쿠라 막부 말기의 실질적인 최고 권력자로 전횡을 일삼았으며, 반대세력에 대해서는 책략을 써서 제거하거나 정치에서 배제하는 등 권모술수에 능했다. 한편, 닛타 군가마쿠라를 공격할 때, 도망쳐 재기를 꾀하자는 가나자와 사다아키의 말을 물리치고, 마지막까지 가마쿠라에 남아 싸우겠다는 의지를 보이는 등 가마쿠라 무사다운 면모도 보였다. 호조 일족과 그 가신들의 최후를 지켜본 후, 스스로 장렬하게 할복하며 생을 마감했다.
  • 나가사키 다카스케: 니시오카 도쿠마 배역. 엔키의 장남. 호조 다카토키의 내관령. 아버지 이상으로 막부 내에서 전횡을 부리고 막정을 혼란시킨 인물. 수뢰 사건을 일으켜 아버지 엔키에게 질책을 받는 등 약간 허술한 면이 있었다. 가마쿠라 공방전에서는 방어 측의 진두 지휘를 맡았지만, 날아온 화살에 맞아 중상을 입고 엔키에게 보내졌으나 자결한다.
  • 모리쿠니 친왕: 요시카와 히데스케 배역. 가마쿠라 막부 9대 쇼군. 명목상으로는 막부의 최고위였지만, 실권은 호조 다카토키나 나가사키 엔키에게 장악되어 꼭두각시와 같은 존재였다.
  • 니카이도 도우인: 기타큐슈 오토코 배역. 막부 정소 집사. 실무 능력이 뛰어나 건무 정권에도 참여한다.
  • 시시도 지이에: 로쿠헤이 나오마사 배역. 유력 고케닌의 적자로, 쇼군 어좌소에서 쇼군을 섬기던 젊은 날의 다카오의 동료. 당시 호조 일족의 지배 아래, 울적해하던 고케닌의 불만을 대변하는 듯한 발언을 종종 한다. 다카오와 사이좋게 지낸다. 가마쿠라 거리에서 교토로 출발하는 다카오와 그 군세를 갓을 쓴 여인과 함께 배웅한다.
  • 도이 사도노젠시: 오쓰카 주오 배역. 가마쿠라 군의 무사. 구스노키 마사시게 탐색 임무를 맡는다.
  • 시오야 무네하루: 오리모토 쥰키치 배역. 요시미 잔당의 우두머리. 가겐(1305)년, 호조에게 모반한 요시미 손타로의 잔당 10여 명을 이끌고 고야마 시모노노카미 군 2000여 기에게서 도망쳐 시모쓰케 국·아시카가 장으로 흘러 들어간다. 사다우지의 "요시미 잔당을 문밖으로 내보낸다"는 뜻을 받아 문 밖의 고야마 군에 돌격할 것을 결의한다. "아시카가 사람들, 시오야 무네하루의 세상에 없는 싸움, 지켜보고 사람들에게 이야기하시오"라고 사다우지 등에게 고하고 고야마 세력에게 돌격해 간다.
  • 아다치 야스모리: 가카 구니오 배역. 호조 씨 외척, 유력 고케닌. 다카토키의 생모인 가쿠카이니는 조카의 딸에 해당한다. 제1화 초반·코안 8년(1285) 11월 17일에 호조의 수하에게 숙청당한다 (시모쓰키 소동).
  • 아다치 무네카게/아다치 모리무네: 마치다 사치오/카사이 신 배역. 아다치 야스모리의 아들. 아버지와 함께 숙청당한다.
  • 시골 무사: 에노키 헤이 배역. 구스노키 토벌을 위해 동원된 어느 시골의 고케닌. 전의는 낮고, 또한 합전 비용이 모두 자비라는 것을 동료 고케닌에게 하소연했는데, 구족사 류사이로부터 고다이고 천황의 은기 탈출 소식을 듣고 놀란다.

5. 제작진


  • 검술 지도 - 하야시 쿠니시로
  • 원작 - 요시카와 에이지 (사본 태평기에서)
  • 각본 - 이케하타 슌사쿠, 나카쿠라 시게로
  • 음악 - 사에구사 시게아키
  • 내레이션(본편·태평기의 고향) - 야마네 모토요
  • 내레이션(오프닝) - 이시자와 노리오, 이시노 타쿠
  • 연주 - C 컴퍼니
  • 주제 음악 연주 - NHK 교향악단
  • 주제 음악 지휘 - 오토모 나오토
  • 감수 - 나가하라 게이지, 오자키 히데키
  • 풍속 고증 - 스즈키 게이조
  • 건축 고증 - 히라이 세이
  • 의상 고증 - 코이즈미 키요코
  • 검술·무술 지도 - 하야시 쿠니오
  • 예능 고증 - 노무라 코스케
  • 동작 지도 - 사루와카 키요카타, 사루와카 키요사부로
  • 마술 지도 - 히마 신
  • 문서 고증 - 시라이 타카마사
  • 미술 코디네이터 - 우에노 케이조
  • 무악 지도 - 시바 스케야스
  • 제자 - 오시카 히로에
  • 협력 - 토치기현아시카가시, 군마현오타시
  • 제작 - 다카하시 야스오, 히토야나기 쿠니히사
  • 연출 - 사토 미키오, 카도와키 마사미, 다나카 겐지, 에노키도 타카히로, 미네시마 소우, 타케바야시 준, 오자키 미츠노부

참조

[1] 웹사이트 第29作「太平記」 https://www.nhk.or.j[...] 2020-12-21
[2] 웹사이트 太平記 https://ci.nii.ac.jp[...] 2020-12-21
[3] 문서
[4] 문서
[5] 문서
[6] 문서
[7] 웹사이트 ビデオリサーチ NHK大河ドラマ 過去の視聴率データ http://www.videor.co[...]
[8] 웹사이트 "トレンディ大河"と揶揄された大河ドラマ「太平記」 https://www.excite.c[...] excite 2017-11-09
[9] 문서
[10] 웹사이트 深作欣二、萩原健一に「Vシネマみたいな台本だよ」 https://www.asagei.c[...] Exciteニュース 2012-11-20
[11] 웹사이트 鎌倉幕府最後の当主北条高時 本当に「うつけ」か否かは謎 https://www.news-pos[...] 小学館 2013-05-24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웹사이트 再放送情報「太平記」 - NHK https://web.archive.[...]
[22] 웹사이트 トレンディ大河"と揶揄された大河ドラマ「太平記」(일본어) https://www.excite.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